오동나무, 천년을 살아도
거문고 곡조 여전하고

매화, 평생 추운겨울을 견디지만
향기 함부로 팔지 않는다

달은 천만번 이즈러져도
그 본래의 성질 남아 있으며

버드나무, 백번을 꺾이더라도
새로운 가지 움터온다.

신흠(申欽, 1566〜1628) 선생은 조선시대 4대 문장가(정철, 박인로, 윤선도, 신흠) 가운데 한 분으로 호는 여럿이나 그중 잘 알려지기는 상촌(象村)이며 조정의 많은 벼슬을 차례로 지낸 후(예조참판·병조참판·홍문관부제학·성균관대사성·도승지·예문관제학·병조참판·도승지) 우의정을 거쳐 좌우정, 영의정까지 오른 인물이다.

이 글의 출전은 『야언(野言)』. ‘전원생활 가운데 야인(野人)을 만나 나눈 이야기 같은 책’이란 뜻이다. 삶의 지혜나 교훈 같은 내용을 기록한 책일 것이다. 위의 글 가운데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문장은 두 번째 글귀인 ‘매화, 평생 추운겨울을 견디지만/ 향기 함부로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이다. 많은 서화가들이 그들의 그림과 글씨에 써 넣었거니와, 조지훈 선생은 『지조론(志操論)』이란 책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도 했다. 

유독 매화가 우리나라 선비나 지사들한테 사랑받게 된 데는 그의 꽃피는 습성에서 비롯되었지 싶다. 겨울이 아직 물러가지 않아 소매부리 치운 날, 붉거나 하얀 꽃, 가녀린 네다섯 개의 꽃잎을 하늘거리며 피어나는 꽃이 참으로 지조 높고 절개 있고 신의로운 누군가의 혼백만 같아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고 시로 읊었을 것이다. 실은 누구나 그렇게 살고 싶었지만 그렇게 만은 살 수 없는 일이기에 매화의 이런 향기로운 면모를 동경하였을 일이다. 말하자면 선비의 이상형 같은 꽃이 매화이다.

조선시대 가장 존경받는 학자 가운데 한분인 퇴계 이황 선생에게도 매화의 아름다움을 칭송한 시가 있다. ‘홀로 기대선 산집 창가에 밤기운 차가운데/ 매화가지 끝에는 두둥실 달이 걸려 있네/ 새삼스레 살랑살랑 부는 미풍 없어도/ 맑고 그윽한 향기 온 집안 차고 넘치네.(獨倚山窓夜色寒/ 梅梢月上正團團/ 不須更喚微風至/ 自有淸香滿院間).’ 그만큼 매화를 좋아하셨다는 이야기인데, 아닌 게 아니라 퇴계 선생은 세상 뜨시던 날 아침에 제자들에게 매화 화분을 물려주시며 ‘매화에게 물을 거르지 말고 주어라.’라는 말씀을 남겼다 한다.

하지만 위의 시에 나오는 ‘오동나무’와 ‘달’과 ‘버드나무’에 대해서도 그 성정(性情)과 본질, 그리고 아름다움에 대해서 한번쯤 되짚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것이 정녕 그렇다면 무릎을 치며 화들짝 찬동하는 마음이 일어나나기도 할 것이다. 시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동천년노항장곡(桐千年老恒臧曲)/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유경백별우신지(柳經百別又新枝)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