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이야 가을이 오는 길목 구절초 매디매디 나부끼는 사랑아
내 고장 부소산 기슭에 지천으로 피는 사랑아
뿌리를 대려서 약으로도 먹던 기억
여학생이 부르면 마아가렛
여름 모자 차양이 숨었는 꽃,
단추 구멍에 달아도 머리핀 대신 꽂아도 좋을 사랑아
여우가 우는 추분 도깨비불이 스러진 자리에 피는 사랑아
누이야 가을이 오는 길목 매디매디 눈물 비친 사랑아.

 한때 ‘북에는 소월이요 남에는 목월이요 중도에는 용래’라는 말을 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는 일찍이 <문장>지에 박목월을 시인으로 추천하면서 추천위원인 정지용이 그 추천사에서 ‘북에는 소월이요 남에는 목월’이라고 썼던 말을 패러디하고 확장시켜서 하는 말이었다. 말하자면 한국어로 쓴 서정시 가운데 그 극치점에까지 간 시인들을 찬양하는 문장이었던 것이다.

박용래(1935~1989) 시인. 충남 강경에서 태어나 당시로서는 명문이었던 강경상고를 졸업하고 은행원이 되었다가 시 쓰는 사람이 되고 싶어 김소운, 박목월을 찾아다니며 사사한 끝에 <현대문학>지에 투고,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시인이 되어 아름다운 이 땅의 서정시를 아주 많이 남긴 시인이다.

누구는 말하기도 한다. ‘박용래의 시를 읽지 않고서는 한국어로 된 서정시를 읽었다 말하지 말라’고. 그만큼 박용래의 시는 최고의 시요 더 이상 올라갈 수도 내려올 수도 없는 정상급의 시라는 말일 것이다.

대부분의 시들이 과거지향의 정서에 기울어 있다. 그리움에 젖어 있다. 그리움이란 무엇인가? 언젠가 내게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을 소망하는 마음이 그리움이다. 도시가 아닌 시골이나 변두리의 풍경을 담고 있다.

뻔질난 사람들이 아니라 헙수룩한 사람들이 내뿜는 한숨 소리 같은 것들이 배어있다. 그림으로 친다면 단순명료한 소묘풍의 그림인데 장욱진 화백의 그림이라기보다는 박수근 화백의 그림에 가깝다.

추억의 세계 일색이요 청색 계통의 풍경이거나 때로는 황토 빛 아련한 그림을 보여준다. 그림이라도 유화나 수채화보다는 파스텔 톤의 그림이라 하겠다.

비록 평생을 눈물과 술과 주정과 빈곤 속에서 꾸겨진 종지처럼 살았지만 시인으로서의 명성은 대단했던 시인이다. 생전에도 수월찮은 독자와 추종자를 두었지만 돌아간 뒤 더 많은 독자와 추종자를 둔 시인이 바로 박용래 시인이다. 말하자면 알짜의, 진정한 독자와 추종자를 둔 행복한 시인이라 할 것이다.

위의 시 「구절초」는 박용래 시인이 남긴 명시 가운데 한편이다. 흔히들 들국화라 부르는 새하얀 가을꽃이 구절초이다. 더러는 서양의 꽃인 마가렛이나 샤스타데이지와 혼동되기도 한다.

그 세 가지 들꽃을 구별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제법 들꽃에 대해서 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인지 시 속에 나오는 여학생도 구절초를 마가아렛이라고 부르고 있음을 본다.

어쨌든 구절초는 우리나라의 가을날 쓸쓸한 산야를 아름답게 장식해 주고 위로해주는 꽃이다. 음력으로 구월 구일쯤 피어나는 꽃이라고도 하고 아홉 마디쯤 줄기가 자랐을 때 피어나는 꽃이라 해서 이름이 구절초(九節草)이다.

시를 시작함에 있어 시인은 ‘누이’를 부르면서부터 시의 첫말을 놓고 있다. 그런 뒤로는 그 누이란 말이 놓아주는 징검다리를 따라 온갖 물상(物像)과 기억들이 을 불려나오고 있다. 

그 과정 속에 ‘내 고장 부소산’도 나오고 ‘대려서 먹던 기억’ 도 나오고 ‘여학생’과 ‘여학생의 여름모자’도 나오고 ‘머리핀’도 나오고 ‘여우가 우는 추분’과 ‘도깨비불’도 나온다. 그렇지만 끝내 시는 ‘매디매디 나부끼는 사랑’으로 귀착한다.

박용래 시인의 시 가운데서도 가장 쾌활하고 밝은 정조가 표현된 가편의 시이다. 누구라도 이 한편의 시를 읽다보면 잃어버린 고향이 문득 떠오르고 그 그리움에 물큰 젖게 될 것이 분명하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