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秋夕)…….

우리나라 대표적인 명절의 하나로 음력 팔월 보름 즉,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이다. 가배(嘉俳)·가위·한가위·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부른다.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은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이때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을 거둘 계절이 되었고 1년 중 가장 큰 만월 날을 맞이하였으니 즐겁고 마음이 풍족하였다.

여름처럼 덥지도 않고 겨울처럼 춥지도 않아서 살기에 가장 알맞은 계절이므로 속담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만’이라는 말이 생긴 것이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이었으며, 오랜 전통이 있는 추석명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다.

추석이 되면 조석으로 기후가 쌀쌀하여지므로 사람들은 여름옷에서 가을 옷으로 갈아입는다. 추석에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고 한다. 옛날 머슴을 두고 농사짓는 가정에서는 머슴들까지도 추석 때에는 새로 옷을 한 벌씩 해준다.

추석날 아침 일찍 일어나 첫 번째 일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설날과는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햅쌀로 술을 빚고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는 것이 상례이다.

가을 수확을 하면 햇곡식을 조상에게 먼저 천신(薦新)한 다음에 사람이 먹는데 추석 차례가 천신을 겸하게 되는 수도 있다. 추석 차례가 끝나고 아침식사를 마치면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게 된다.

추석 무렵은 좋은 계절이고 풍요를 자랑하는 때이기에 마음이 유쾌하고 한가해서 여러 놀이를 한다. 사람들이 모여 농악을 치고 노래와 춤이 어울리게 된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놀이가 전승되는데 호남 남해안 일대에서 행하는 강강술래와 전국적인 소먹이놀이, 소싸움, 닭싸움, 거북놀이 등은 농작의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으며, 추석 무렵에 올게심니를 하는 풍속이 때문에 그해의 농사에서 가장 잘 익은 곡식으로 벼·수수·조(粟)등의 목을 골라 뽑아다가 묶어서 기둥·방문 위나 벽에 걸어놓는다.

그밖에 추석날의 일기를 보아 여러 가지로 점을 치기도 하는데, 추석날은 일기가 청명해서 밝아야 좋으며,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해서 불길한 징조로 삼고 있다.

▷ 벌초(伐草), 금초(禁草)!

벌초(伐草)는 무덤의 풀을 깎아 깨끗이 한다는 뜻이며, 금초(禁草)는 금화벌초(禁火伐草)의 준말로서, 무덤에 불을 금하고 산소의 잡초를 베어잔디를 잘 가꾼다는 말이다.

금초(禁草)와 벌초(伐草)는 거의 같은 뜻을 나타내는 말이며, 보통 한가위 한 달 전인 음력 7월 15일경부터 한가위 전까지 실시하는데 이시기에 잡초들의 성장이 거의 마무리되는 시기이다.

일 년 중 우리민족의 최대명절을 맞이하여 자손들이 조상님들이 계시는 장소를 정성스럽게 관리하는 것은 동방예의지국의 미풍양속으로 여겨져 왔다.

여름동안 자란 풀이 무성하고 시들어 산불이라도 나면 무덤이 타게 되므로 미리 풀을 베어주는 것이다. 어쩌다 추석이 되어도 벌초를 하지 않은 무덤은 자손이 없어 임자 없는 무덤이거나 자손은 있어도 불효하여 조상의 무덤을 돌보지 않는 경우여서 남의 웃음거리가 된다.

추석은 공휴일로 제정되어 고향을 찾는 일은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기 위해서이다. 추석명절에 차례와 성묘를 못 하는 것을 수치로 알고, 자손이 된 도리가 아니라고 여기는 것이 우리나라 사람의 의식구조이며,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문화임에 틀림없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