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국감에서 2010년 충남도 농가소득이 3천322만원으로 9개 도 중 4위였는데, 2016년엔 3천416만원으로 9개 도 중 8위로 밀려났다는 지적을 받아 화제가 되었다.

또 충남도의 농가인구 감소율이 전국 최고고, 65세 이상 고령농도 전국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귀농인구 증가율도 전국 평균에 못 미친다는 지적을 받았다.

충남도의 핵심정책인 3농 혁신에 대해서는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이 핵심인데 연간 화학비료 사용량이 5년 전 223kg에서 지금은 262kg을 썼다는 비판을 받으며 친환경 농업정책이 이렇게 거꾸로 갔다면 이젠 정리를 하든지 바꿔야 한다는 쓴소리를 들었다.

실제로 충남지역의 농촌에서는 위기에 빠진 농민들의 한숨이 끊이질 않고 있다. 따라서 농민들의 위기를 개선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특정 지역에서 농민들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가능한 한 그 지역 안에서 소비하도록 촉진하는 활동이다.

먹을거리가 생산지로부터 밥상까지 이동하는 물리적 거리를 줄이는 것은 물론,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도 익명성에서 벗어나 사회적 거리를 좁힘으로써 식품 안전과 가격 안정을 보장받자는 것이다.

충남도 내 로컬푸드 직매장이 해마다 크게 늘어나며 지난해 총 매출액이 300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성농협 직매장에 참여 중인 농가 4곳은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확인돼 눈길을 끌었다.

도내 직매장은 육성·지원 첫 해인 2013년 5곳에서 2014년 11곳, 2015년 26곳, 지난해 10개 시·군 35곳으로 늘었다. 시·군별로는 당진이 10곳으로 가장 많고, 천안 6곳, 아산 5곳, 논산과 홍성 각각 3곳, 공주·서산·서천 각 2곳, 금산·예산 각 1곳이다. 직매장 증가에 따라 매출액도 급증했는데, 2013년 8억 7700만 원에서 2014년 72억 6900만 원, 2015년 209억 3200만 원, 지난해 326억 4400만 원 등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로컬푸드 직매장이 앞으로 큰 발전을 이루기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받는 노력이 급선무라는 지적이 나온다.

양적으로 성장되고 있는 로컬푸드 직매장은 농민들에게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한걸음 더 나아가서 발전적인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 소비자의 애향심에 기대어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이기 때문에 소비해 달라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전성을 인증해주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이런 문제가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국에 123개 로컬푸드 직매장이 운영 중인 가운데, 지난해 연중 운영된 직매장의 절반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연중 운영된 48개 로컬푸드 직매장 중 23개가 적자로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2015년 개장한 매장은 16개 중 13개가 적자를 보고 있어 더욱 상황이 심각했다.

농민들이 호소하는 가장 큰 문제는 로컬푸드 직매장의 가격결정을 일원화 하는 생산자 조직이 없다는 점을 말한다. 지역별 로컬푸드협의체는 존재하지만, 가격결정을 세분화해 결정하고 일원화할 가격결정 조직이 없어서 생산자인 농업인간 출혈경쟁 가능성이 불가피하다.

이런 가격결정의 취약점을 개선하고 신뢰를 강화하는 시스템을 세밀하게 마련해주어야 로컬푸드 직매장도 성장하고 실질적인 농가소득도 늘어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