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다.

또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말도 있다. 그만큼 세계사에 있어서 로마가 주는 영향력은 크게 느껴질 정도다.

로마로 통한다는 말은 로마 사람들이 어느 곳으로든 이르고자 하는 곳으로 통하는 도로망의 정비 때문에 만들어진 말이라 한다.

로마의 법을 따른다는 말은 서양종교의 초기시절에 밀라노는 토요일 로마는 일요일 날 금식을 했다 한다.

그렇다 보니 밀라노 사람들이 로마에 갔을 때는 자기들 전통을 지켜 토요일에 금식을 해야 하는지 의문을 품고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물었다.

아우구스티누스도 얼른 적절한 답을 하지 못하고 선배인 안부로지우스에게 물어 볼만큼 상당히 어려운 문제였던 모양이다. 안부로지우스는 나도 이곳(밀라노)에 있을 때는 토요일에 단식한다. 그러나 로마에 있을 때는 로마 사람들처럼 그들의 법대로 단식을 따라서 한다.

그러하니 로마에 가거든 로마사람들이 하는 대로 하라고 했다. 그렇게 해서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 하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한다.

올해 부처님 오신 날은 전국의 산사에서 크고 작은 법회가 열렸다. 신심 깊은 불자들은 물론 정치인들과 기관장들의 참석 및 축사 등도 진행이 되었다. 그런데 참석은 하고도 참석 하지 않은 것만도 못한 일이 있었다 한다.

모 정당 대표가 지방에서 열린 사찰의 봉축 법회에 가서 의식 행사 가운데 불가식 예법인 합장도 하지 않고 아기부처님 오신 날의 아기부처님 목욕 의식 차례에도 진행자로부터 이름을 호명 받고도 의식을 행하지 않아 자기가 믿는 종교적인 신념을 지키는데 큰 상을 받을만한 일이 있었다. 굳이 그럴 생각이라면 그 법회장에는 왜 갔는지 참으로 딱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최소한 절에 갔으면 합장 정도는 상대에 대한 예의요, 존중으로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사람은 전혀 그럴 마음도 없고 자기 얼굴 알리고자 간 목적 외에는 아기 부처님 오심을 축하하러 간 자리가 아닌 모습이었으니 설왕설래 말들이 많다. 저런 편협한 사람이 정권을 잡게 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염려다.

비슷한 일로 조선말에 대원이가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했을 때 전국에 양반과 당파, 족벌의 적폐를 해결한다는 주장으로 서원 철폐를 강행한 바 있다. 서원을 중심으로 문중이나 양반들의 적폐가 커서 새로운 정치의 틀을 만드는데 장애가 된다 해서다.

표면적 이유는 그렇지만 또 다른 이유에 이런 이야기가 전한다. 충북의 명소인 화양계곡을 구경하다가 임진왜란에 원군을 보내온 명나라 황제 신위를 모신 만동묘라는 곳을 구경하고자 겨드랑이에 하인들의 부축을 받으며 들어갔던 모양이다.

그러자 천민인 만동묘 묘지기가 달려 나와서 만동묘에 모신 신위는 조선의 임금보다 격이 높아서 왕이라도 부축 받지 못하거늘 어떤 버르장머리 없는 놈이 부축을 받으며 들어오느냐 하며 대원이를 냅다 걷어차서 꺼꾸러지는 모양이 된 것이다.

그 일로 만동묘를 지키는 관리에게 추궁을 하였어도 관리는 만동묘의 전통이 그러하니 천민이라도 묘지기를 벌 할 수 없다 편드는 소리를 듣고 분을 삭이지 못 한다.

훗날 대원이가 전권을 휘두르면서 제일 먼저 한 일 하나가 서원 철폐라는 무소불위의 권력의 힘이었으니 그 앞에 남아 난 서원이 몇 되지 않는다.

어떤 이는 고질적인 적폐 운운을 앞세웠지만 실제로는 만동묘에 가서 만동묘의 법을 따르지 않다가 당한 한의 분풀이가 철폐령으로 이어진 것이라 보는 사람도 있다.

서원 철폐령과 더불어 만동묘의 관리도 참살시켰다 하니 어리석고 우매한 중생이 권좌에 올라서는 안 됨에도 불구하고 무소불위의 권세와 힘을 양손에 쥐면 무슨 일을 벌이게 되는지 잘 알려 주는 단적인 예라 하겠다.

내가 믿는 종교와 다르다하여 완전 무시하려고 하면 굳이 그 자리에 가서 자기 본색을 드러내어 날 보아라 으스대면서 이러쿵저러쿵 말을 듣는 자야말로 참으로 어리석고 아둔한 중생이다.

그런 자가 나라 법을 다스리는 자리에도 있었고 일개 정당의 장 자리에도 있었으면서 심지어 나라법보다 자기 종교법이 더 높다 하였다 하니 하늘을 우러러 아버지 운운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겠는가.

절에 가면 절의 예법을 따르고 교회나 성당을 가면 거기에 맞는 예법을 따르며 마음을 비운 대인배의 자세로 행사에 임한다면 얼마나 보기 좋겠는가.

세살 먹은 아이도 혀를 찰만큼 참 딱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종교 간에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고 상대 종교를 배려하는 마음이 아쉽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