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周夢爲胡蝶  自喩適志與  胡蝶之夢爲周與 
(장주몽위호집  자유적지여  호접지몽위주여)

周與胡蝶  則必有分矣  此之謂物化
(주여호접  칙필유분의  차지위물화)

이철진
장주는 꿈 속에서 나비가 되어 더할 수 없는 줄거움을 누렸다.
나비 또한 꿈 속에서 장주가 되어 유쾌하게 놀았다.
나비와 장주를 구별 못하듯이 꿈의 세계와 현실세계를 다르다고 보지 않는다.
꿈을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현실세계의 반영(反映)이 꿈이요, 꿈의 세계의 반영이 현실이다. 현실에서 꿈의 소재와 재료가 만들어지며
꿈 속에서 현실의 힌트(hint)를 얻을 수 있다.
屈原(굴원)의 漁父辭(어부사)를 보면,
현실세계와 이상세계가 맞지 않는다고 汨羅(멱라)에 몸을 던진 굴원(屈原)은 강기슭에서 漁父(어부)의 이러한 말을 듣는다.
聖人(성인)은 세상의 어떤 것과도 조화를 이룬다. 성인은 이미 세상과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세상을 원망하며 자신의 몸을 傷(상)하게 하는가 !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성인부응체어물 이능여세추이)
정신세계와 현실세계가 어긋난다고 하는 것은 현실에 모순이 있어서가 아니고 정신세계가 모순되었기 때문이다.
꿈의 세계가 현실세계와 다른 것이 아니라면 꿈의 세계는 宜當(의당)히 현실세계와 조화(調和)를 이루어야 한다. 현실세계를 억지로 변화시킬 수 없다면 현실을 직관(直觀)하고 현실과 하나가 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현실과 一體(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어부가 말하는 성인은 사물(세상)과 하나가 된다라고 하는 의미이다.
어설픈 혁명가는 자신이 세상을 변화시킬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세계와 이상세계가 다르다고 생각하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없다. 이를테면 노동자와 자본가, 계급의 양극화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세상의 어떤것도 변화시킬 수 없으며 현실세계가 곧 이상세계요, 꿈의 세계라는 이치를 모른다면 모든 것을 혼란시키고 어지럽힐 것이다.
나는 현실과 꿈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현실이 불행하면 꿈속에서 행복하면 되는 것이고 꿈속에서 불행하면 현실에서 행복해지면 되는 것이다.
이 세상은 하나의 나비이며 나비는 사람의 꿈을 꾸었고 사람이 되었다.
이것을 物化(물화)라고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