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 민속학자 심우성

‘쌍육놀이’ 지금은 거의 저능되질 않고 있는 좀 까다로운 민속놀이여서 아는 사람조차 드물다. 쌍육(雙六)또는 쌍륙(雙陸)에 놀 희(戲)를 더한 고급 민속놀이의 이름이었다.

‘雙六戲’ 또는 ‘雙陸戲’라 한다.

이 놀이는 두 사람이나 두 편으로 갈려 각 편이 15개의 ‘말’을 가지고 2개의 ‘주사위’를 굴려 나오는 사위대로 판 위에 ‘말’을 써서 먼저 나는 편이 이기는 놀이이다. 잘 다듬은 말(나무)을 쥐고 논다고 하여 ‘악삭(握槊)’이라 쓰기도 했다. 놀이의 형태는 ‘장기’와 ‘윷’의 중간적 위치로 설명되는데 즉 장기의 행마와 같은 작전과 윷 사위 같은 요행수가 맞아 떨어져야 좋은 내용의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쌍육’이란 놀이는 우리나라에 비교적 오래 전부터 전래되어 왔으나 그의 기원이나 유래를 정확히 밝히고 있는 것은 드물다. 다만 문헌에 ‘백제시대’에 있었다고 하며 중국 漢 武帝 때에 西堿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와 백제를 거쳐 다시 일본으로까지 전해져서 ‘스고로꾸’가 되었다는 說이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여러 ‘민속화’에 쌍륙을 두는 모습이 등장하고 특히 ‘매월당 김시습’의 ‘쌍륙’이란 시조로 보아 이 놀이는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기록은 중국 송나라 때의 학자 홍준(洪遵)의 쌍륙보(雙六譜), 재물보(才物譜), 조선왕조실록, 朝鮮賦, 유한잡록(遺閑雜錄)등이 이에 대한 기록들이 보이고 있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도 꽤 널리 전하고 있는 민속놀이의 한 종목이었으나 오랜 옛날의 일로서 오늘날에는 실제로 연희하고 있는 사람이 거의 없는 세상이 되고 말았다.

나의 고향 집은 충청남도 공주군 의당면 율정리인데 이 마을에 비교적 큰 규모의 옛집이 이었다. 그런데 나의 할아버님과 아버님께서는 공부는 한양에서 해야 한다는 뜻이 깊으셔서 할아버님의 깊고 큰 공부방이 있는 ‘서울’하고도 ‘종로’, ‘명륜동’, ‘성균관’ 바로 옆에 작지 않은 기와집을 마련하고 계셨다. 그러다 보니 나의 고향은 충청도 시골이었는데 자란 곳은 서울하고도 복판이었다.

다음에 보여 드리는 ‘雙陸戲’ 그리고 ‘쌍육판’, ‘箕山風俗帖-쌍륙’ 등은 이 글을 이해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된다.

먼저 글쓴이의 아버님과 어머님께서 1970년대 가을, 서울시 중구 필동에 살고 계실 때 남기신 사진을 소개한다.

그러면 먼저 쌍육과 닮은 놀이가 외국에서 어떠했는지 찾아본다. 오래된 쌍육 형태의 놀이가 발견된 것은 바비로나아의 ‘아브라함 성지’로서 BC 3천년 경에 제작된 놀이판의 출토이다.

그 이후는 나일 강변의 ‘피마미트’, 고대 ‘그리스’ 그리고 ‘로마제국’시대의 여러 유적 및 ‘폼베이 시’의 여러 가정의 정원에서 쌍육판을 발견하였으나 아직 정확한 쌍육의 발견지를 밝힐 수는 없다. 거의 모든 옛 놀이들이 그렇듯이 지금의 인도나 중국 지역이 그 발생지가 아니겠는가라는 일반적인 견해가 있을 뿐이다.

놀이방법은 우리나라에 있어 전 지역에 따라 다르며 쓰는 말도 일정하지 않다. 쌍륙은 ‘말판’과 여러 개의 ‘말’과 그리고 2개의 주사위가 필요하다. 주사위는 투자(骰子)라고도 하는데 사아 따위의 뼈를 각 변의 길이가 1cm쯤 되게 육면체로 깎고 6면에는 점으로 1에서 6까지를 새겨서 표시하였다.

다음에서는 쌍륙 두는 가장 기본적인 놀이방법과 규칙 및 가지를 소개한다.

쌍륙이라는 말의 또 다른 해석은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눈이 6·6이 되면 반듯이 이긴다하여 쌍륙(雙六 여섯이 둘이라는 뜻)이라 하기도 한다. 먼저 두 사람이 쌍륙판을 가운데 두고 마주 앉아 자기 말의 색깔을 정하여 그림과 같이 흑(黑)·백(白)의 자기편과 산대의 말을 엇바꾸어 가며 2개, 5개, 3개, 5개씩 놓아둔다.

다음 차례를 정하기 위하여 각자가 주사위 하나씩 만을 던져서 높은 숫자가 나온 사람이 먼저 두면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본격적으로 놀이를 시작하는데 있어 죽통(竹筒)을 사용하기로 하는데 이것에 주사위를 놓고 흔들어 굴려 두 주사위의 사위대로 말을 써 나간다. 이때 안 밭에 말 1개만 세워 나가지를 말고 말을 2개 이상 겹쳐 세워 나가면 유리하다. 단, 한 판에 5개까지만 세울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대의 방에 있는 자기편 말을 자신의 방에 모이도록하면 된다.

그림에 보이듯이 검은 말은 ㉣→㉢→㉠→㉡방향으로 움직여 ㉡ 자리에 모이게 되고 흰 말은 ㉡→㉠→㉢→㉣ 방향으로 움직여 ㉣ 자리에 모이게 하는데 다 모이면 그때부터 사위대로 말을 판 밖으로 내 보낸다.

이렇게 하여 어느 편이든지 자기 방의 말이 모두 나갔고 상대의 말은 아직 몇 동 남았을 때 한판의 승부가 쌍륙 두는 구체적 방법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 주사위의 사위가 6·3이 나왔으면 반듯이 말 하나를 여섯 밭을 가고 다른 하나는 세 밭을 가거나 말 하나가 여섯 밭을 간 후 계속해서 세 밭을 갈 수 있으나 두 사의의 합이 이홉 밭이라 해서 임의로 다섯 밭, 네 밭 등으로 조개서 쓸 수 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상대의 말이 한 하나만 있는 밭은 그 말(바리 : 혼자 있는 말:을 잡아 내고 들어가며 잡힌 바리는 판 밖으로 나가야 한다. 한편, 상대의 말이 두 동 이상 있는 밭에는 둘 수 없다.

앞의 경우와 같이 잡혀 나간 말은 반듯이 처음부터 다시 들어가야 하는데 이때도 상대방의 말이 둘 이상 있으면 놓을 수 없으므로 기다렸다가 다음 차례에 또 주사위를 던져 빈 밭이나 자기 말 자리에 놓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