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2년여 동안 공주시민들에게 불신과 반목을 안겨주었던 공주대학교 교명변경문제는 교육인적자원부에 신청했던 교명변경신청서가 반려됨으로써 일대 전환점을 맞이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 12월 27일 공주대학교측이 제출한 교명변경에 대한 신청서를 반려하였다. 반려 사유는 공주대학교측이 신청한 국호를 사용한 교명은 적절치 않으며 ‘한국대학교’는 이미 수년 전에 타 대학에서 신청했다가 반려된 전력이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이유는 학내 구성원인 교수, 학생, 동창회간의 의견수렴에 문제점이 있고 시민간의 반대 목소리가 커 그로인한 지역사회에 갈등이 조장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너무도 당연한 결과이다.
그동안 공주지역은 공주대학교 교명변경문제로 너무도 많은 손실과 타격을 입었다. 김재현 총장이 취임하면서 취임 일성으로 밝힌 공주대학교 교명변경에 대한 실천이 가시화 되면서부터 공주시 전역은 그야말로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지기 시작했다.

학기초가 시작되면서 학교 주변에 내걸린 각종 현수막 등으로 인하여 ‘관광 공주’의 명예는 땅바닥으로 내동댕이쳐지고 자녀를 공주대학교에 입학시킨 외지의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덩달아 신관지역을 포함한 공주시내의 상가는 매출감소로 인하여 생업에 대한 위기감을 넘어 생존권의 위협으로까지 다가 왔다.

하지만 공주시민은 2년여 동안 치렀던 여러 차례의 크고 작은 시민집회와 단식 등을 통하여 결집된 힘을 모았고 마침내 교명변경 및 본부이전의 싹을 잘랐다.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기까지는 공주시민과 ‘교명변경 사수 공주시 범대책위원회’ 관계자 그리고 ‘교명수호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의 노고가 컸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이제부터가 그동안의 과정보다 더욱 중요한 새로운 시작점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그동안 공주대학교를 너무도 당연시 여겨왔던 공주시와 공주시민들도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 것인가를 뼈저리게 느꼈을 것이다. 상처투성이가 된 학교 측이나 범대위, 비대위측도 마찬가지다. 이제 서로의 상처를 어루만지면서 상생발전의 길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번 공주대학교의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면서 또 하나 간과해서는 안될 공주교육대학교의 미래를 짚어보고자 한다. 얼마 전 공주교육대학교 총장선거에서 4명의 후보자들 모두가 대학통합 적극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물론 총장선거에서 당선된 차기총장도 국립종합대학과의 통합을 추진하겠다는 통합계획을 밝힌 바 있다고 한다. 교육도시 공주의 근간은 바로 공주대학교와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사대와 공주교대가 있기 때문이다. ‘공주교육대학교’가 아닌 타 지역 이름을 빌린 ‘△△대학교 공주교육대학’은 또 다른 공주대학교 사태를 불러올 수도 있다.

공주대학교의 예처럼 곧 있을 공주교육대학교 총장 취임식에서 이 문제가 거론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면 공주시는 공주교육대학교 측의 진위를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

옛말에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속담이 있다. 만약에 이 문제가 현실이라면 가래는 물론이고 포크레인이라도 불러야 할 판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기를 정해년을 마감하면서 간절히 소원해 본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