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우리 국민은 짧은 민주주의 역사 속에서 많은 것을 이뤄낸 위대한 국가이자 국민이다.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상황에서도 국민들은 기꺼이 투표소로 향했고, ‘한국에서 민주주의가 피어나길 기대하는 것은 마치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이 피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다.’는 옛 서구 이방인의 걱정이 한낱 기우에 불과했었다는 것을 직접 증명했다. 

근래에 치러진 공직선거들을 보면 근소한 표차이로 당선과 낙선이 결정되었을 때에도 후보자와 지지자들은 선거결과를 받아들였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일 같지만 흔치 않고 쉽지 않은 일이다.

최근 들어서는 소위 정치 선진국이라는 국가에서조차도 선거결과에 승복하지 못 하고 지지자들이 폭력적으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상황들이 발생하곤 했다.

이에 반해 대한민국 국민들은 그간의 공직선거에서 선거결과에 승복하는 성숙한 선거․정치문화를 보여줘 왔었다.
 
오는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도 이러한 성숙한 선거·정치문화를 이어가기를 소망해본다. 그러기 위해서 후보자들은 네거티브, 포퓰리즘이 아닌 현실성 있는 정책과 공약으로 경쟁하여야 하고, 유권자는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을 꼼꼼히 살펴 신중한 선택을 하여야 한다.

유권자가 후보자를 선택하는 투표에 있어서, 유권자가 아무리 합리적이라 하더라도, 후보자에 대한 정보가 결핍되어 있거나 왜곡되어 있다면 제대로 된 선택은 이루어 질 수 없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후보자의 재산·병역·세금·전과·학력 등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있고, 매세대에 발송하는 선거공보의 둘째면에도 같은 정보를 게재하도록 하여 유권자들이 쉽게 후보자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책을 꼼꼼히 살피고 투표를 했다고 해서 유권자의 역할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한 발 더 나아가 당선자의 약속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에 대해 꾸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유권자는 선거를 통해 결정된 자신의 대변인이 본인의 책임을 다하고 있지 않다고 여겨질 때에는 반드시 다음 선거에서 그 책임을 물을 수 있어야 한다.

후보자의 공약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 후보자에게 한 표를 행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유권자 자신이 위임한 권리를 직접 감시할 책임을 느끼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야만 유권자의 결정이 비로소 ‘올바른 정치’라는 선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순환의 선거환경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선거관리위원회가 파수꾼 역할을 제대로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제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4월 10일에는‘유권자’, ‘후보자’,‘선거관리위원회’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온전한 역할로 화합하여 ‘아름다운 선거’라는 결과를 꽃 피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금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